If the design were to use 4
traditional conetruction method, 3
they 1
'd have 2
to build 3 <-wooden molds (목적어구)
<-and pour concrete 4 =>3  (목적어구)
into them. 4
With the 3D printing 4
you 1
can actually directly print 2
the shape 3
that you want 6
without first 4 <- having  =>4  (having 은 분사가 아니라 동명사에요. 해석상 그래요)
<- to make 5 <-the mold. 3 =>3
And that 1
's why it's not only aesthetically 2
it 1 <- is an interesting technique, 2 =>6
because you 1
actually have 2
density of printing 3
that you later see 6
in the product. 4
He
's used 2
3D printing 3
to make sculpture. 4
It
doesn't matter 2
how complete the shape 3 <- is, 2 =>3
it 1 <- can be build. 2 =>3  (병렬적 구조에요)
The designers 1
hope 2
to complete 3
in next year. 4
질문:be 동사 뒤에 that 구문이 보어적으로 쓰이지 않는 경우도 있나요?
답변: be 동사 다음에 that 구문이 오면 항상 보어적으로 쓰여요. 강조하는 형식이죠.    
     
   
 
 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
               *학습방법*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1.읽기: [읽고쓰기] 내용을 의미어구에 따라 끊어서 쓰고 어구번호 붙이기  2.듣기: [듣고말하기] 내용을 듣고 의미어구 단위로 끊어서 따라 말하기 
             
             | 
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   3.쓰기:[바꿔쓰기] 내용을 보면서 옆에 /표시하고 의미를 바꿔서 쓰기 4.말하기: [바꿔말하기] 내용을 듣고  의미어구 단위로 바꿔서 말하기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{어구번호: 주어구1, 술보어구2, 목적어구3, 부사구4, 분사구5, 관계사구6}
             
             |